유닉스


1970년대 초반 개발자들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됐다. C언어로 대부분 작성되었기에 수정해서 다른 컴퓨터에 적용하기 편해졌다.

그렇기에 무분별하게 다른 컴퓨터에 적용하는 사례가 많아져 다양한 버전의 유닉스가 만들어졌고 이걸 제한하기 위해 POSIX 라는 유닉스의 표준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리눅스


유닉스는 벨 연구소 당시 AT&T 회사에 소속되어 있어, 유닉스를 사용하거나 변형할 때, 회사에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당시 소프트웨어를 더 쉽고 자유롭게 공유하고자하는 문화가 존재하여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이라는 곳에서 유닉스의 코드를 하나도 사용하지 않은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 체제를 직접 만들기 시작했다. 그 운영 체제의 이름은 GUN (GNUs Not Unix)라는 운영체제를 만들었지만 커널이라는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이 잘 완성되고있지 않은 찰나에

핀란드 헬싱키에 대학생 리누스 토발즈 가 유닉스의 교육용 버전인 미닉스라는 운영 체제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새로운 커널을 만들었고 그렇게 합쳐진 운영체제를 Linux 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다.

그렇기에 우리가 흔히 아는 리눅스는 온전한 운영 체제가 아니라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인 커널에만 해당된다. 운영체제는 GNU/Linux 이지만 리눅스라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많기에 그렇게 불리고 있다.